훈민정음 해례본 경필쓰기
관리자 | 조회 961

≪훈민정음 해례본 경필쓰기≫
박재성 엮음|국배판|260쪽|값 23,000원
ISBN 979-11-971940-8-5
2022년 4월 1일 발행|훈민정음(주) 발행(☏ 070-8846-2324)
◆ 이 책은
하나. 훈민정음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 책은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사단법인 훈민정음기념사업회가 『훈민정음』을 바르게 알리기 위해서 심혈을 기울여 현대에 맞게 번역하여 국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집하였습니다.
둘. 문자 강국의 자긍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책은 전 세계에 존재하는 70여 개의 문자 중에서 유일하게 창제자 · 창제연도 · 창제원리를 알 수 있는 독창성과 창작성으로 유네스코에 인류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어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문자로 인정받는 위대한 문자 『훈민정음』을 보유한 문자 강국의 자긍심을 느낄 수 있도록 편집하였습니다.
셋. 역사를 바르게 알 수 있습니다.
이 책은 『훈민정음 해례본』의 내용 풀이에만 그치지 않고, 내용 중에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도 미주에 보충 설명을 하여서 독자 누구나 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집하였습니다.
넷. 한자를 바르게 알고 쓸 수 있습니다.
이 책은 『훈민정음 해례본』의 한자 및 한자어를 분석하여 사용된 727자의 사용된 한자에 대한 훈음은 물론 속자, 약자, 동자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독자 누구나 한자를 저절로 알 수 있도록 편집하였습니다.
다섯. 글씨를 예쁘게 쓸 수 있습니다.
이 책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생활로 글씨를 쓰는 기회가 점점 사라지는 현대인에게 마음을 표현할 수 있는 예쁜 글씨를 써볼 수 있도록 편집하였습니다.
여섯. 일석삼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책은 『훈민정음 언해본』에 대한 내용의 이해는 물론, 훈민정음의 창제원리를 배울 수 있고, 사단법인 훈민정음기념사업회가 주최하는 〈훈민정음 경필쓰기 검정〉에도 응시할 수 있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편집하였습니다.
◆ 저자 머리말
사람은 글씨를 통해 마음을 표현하므로 글씨는 마음을 전달하는 수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음이 바르면 글씨도 바르다(心正則筆正)’고 합니다. 오만 원권 지폐에서 우리에게 낯익은 신사임당이 만 원권 지폐에서도 만날 수 있는 이율곡에게 전한 말입니다.
예로부터 글씨는 그 사람의 상태를 대변한다고 합니다. 올바른 몸가짐, 겸손하고 정직한 말씨, 바른 글씨체, 공정한 판단력이라는 「신언서판(身言書判)」은 글씨로 마음을 다스릴 수 있는 사람에게 나랏일을 맡겼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글씨는 의사소통의 도구라고 표현하는데, 우리는 의사소통의 도구 중에 가장 쉽고 간략하여 효과적으로 의사 표현을 할 수 있으므로 세계인이 부러워하는 특별한 방법을 갖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존재하는 70여 개의 문자 중에서 유일하게 창제자 · 창제연도 · 창제원리를 알 수 있는 독창성과 창작성으로 유네스코에 인류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어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문자로 인정받는 위대한 문자 훈민정음이 바로 그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세종대왕이 주신 위대하고 영원한 선물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파괴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현대인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생활로 글씨를 쓰는 기회가 점점 사라지고 키보드로 글을 치게 됩니다. 이것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체 중에 인간만이 누릴 수 있는 글씨 쓰는 특권을 포기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키보드와 마우스가 대세인 젊은 세대일수록 손으로 글씨를 많이 써야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차례
一부. 훈민정음 개론
1. 훈민정음 원본, 해례본, 언해본 15
1) 원본
2) 해례본
3) 언해본
2. 훈민정음 해례본 16
1) 개요
2) 발견경로
3) 국보 70호 훈민정음 해례본의 비밀
4) 훈민정음 서문
5) 훈민정음 해례본의 내용 구성
6) 의의와 평가
3. 훈민정음 해례본 집필에 참여한 8학사 23
1) 정인지(鄭麟趾)
2) 최항(崔恒)
3) 박팽년(朴彭年)
4) 신숙주(申叔舟)
5) 성삼문(成三問)
6) 강희안(姜希顏)
7) 이개(李塏)
8) 이선로(李善老)
二부. 훈민정음 해례본 경필 쓰기
1. 어제서문 29
2. 제자해 41
3. 초성해 96
4. 중성해 100
5. 종성해 107
6. 합자해 119
7. 용자례 135
8. 정인지서문 143
三부. 특별자료
1. 훈민정음 해례본에 사용된 한자 및 한자어 분석 159
2. 훈민정음 해례본에 쓰인 속자 및 약자와 동자 정리 160
3. 훈민정음 해례본에 사용된 한자 훈음 161
4. 미주 169
四부. 부록
1. 훈민정음 경필쓰기 검정 1급용 원고 별책
2. 훈민정음 경필쓰기 검정 특급용 원고 별책
3. 국보 훈민정음 해례본 영인본(각자장 운봉 박영덕) 171
◆ 엮은이 소개
● 박재성(호 경산, 하천)
• 명예효학박사 (성산효대학원대학교)
• 교육학 박사 (국민대학교 대학원)
• 고려대학교 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 수료
• 사단법인 훈민정음기념사업회 이사장
• 훈민정음탑 건립 조직위원회 상임조직위원장
• 훈민정음대학원대학교 설립추진위원회 상임추진위원장
• 훈민정음 경필쓰기 검정위원장
• 훈민정음 명장 심의위원장
• 훈민정음 신문 발행인
• 서울경기행정신문 / 새용산신문 / 4차산업행정뉴스 / 경남연합신문 논설위원
• 위키백과사전 인물 등재 / DAUM, NAVER, NATE 등 인물소개 등재
<저서>
• 우리말로 찾는 정음자전 (2021 훈민정음 주)
• 세종 어제 훈민정음 해례본 총록 (2021 훈민정음 주)
• 소설로 만나는 세종실록 속 훈민정음 (2021 훈민정음 주)
• 훈민정음해설사 자격시험 예상문제집 (2021 훈민정음 주)
• 훈민정음 해례본 경필쓰기 (2022 훈민정음 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