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협회소식

문자갤러리

훈민정음 창제 579년(2023 계묘년) 훈민정음 달력 간행

관리자 | 조회 924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사단법인 훈민정음기념사업회 박재성 이사장이 디자인 한 국내 최초의 훈민정음 달력이 명성국제특허법률사무소 김영광 대표 변리사를 대리인으로 2022년 11월 25일 출원번호(제30-2022-0049255호)로 출원하였던 훈민정음 달력이 20221222일 특허청에 달력 디자인 등록(등록번호 제30-1196975호)이 완료되어 이인실 특허청장일 발급한 디자인 등록증을 수령하였다.

 

<훈민정음 달력>10대 특징

 

1. 요일을 영문이 아닌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동국정운 체로 표기.(달력 전체에서 영문 표기를 전혀 하지 않음.)

 

2. 요일의 한자 글꼴을 <훈민정음해례본>에서 집자(集字)해서 역사성을 표방.

 

3. 매 달마다 훈민정음 282개 글자 씩 <훈민정음해례본>의 글꼴로 배열.

 

4. 매 달마다 뒷면에는 앞면에 제시된 훈민정음 글자에 대한 <해례본><언해본>의 내용을 배치하여 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나타냄.

 

5. 매 달 매 일마다 음력을 병기하고, 24절기를 한글과 한자로 병기.

 

6. 훈민정음 창제일과 훈민정음 완성일, 최만리 반대상소일 등을 당시의 음력 날짜를 그레고리력의 양력 날짜로 변환하여 기록.

 

7. 세종대왕의 출생일, 세자 책봉일, 승하일과 소헌왕후의 훙서일 등을 당시의 음력 날짜를 그레고리력의 양력 날짜로 변환하여 기록.

 

8. 훈민정음 창제 이후 간행 된 주요 서적의 발행일, 완성일 등을 당시의 음력 날짜를 그레고리력의 양력 날짜로 변환하여 기록.

 

9. <훈민정음해례본>의 어제 서문과 <언해본>의 어제 서문을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특별 편집.

 

10. 달력 표지에는 박재성 작사, 김동연 글씨, 성기태 서각 작품의 <훈민정음 노래>를 입체감 있게 특수인쇄.